(사)한국문화센터(회장 정담 이금덕)가 올여름 전국 지부 세미나를 통해 단순한 기능 전수에서 벗어나 역사와 문화적 맥락을 함께 전달하는 ‘이해 중심 교육’을 확산시키며, 강사와 수강생이 함께 성장할 수 있는 지속 가능한 교육 생태계 구축에 나섰다.

이금덕 회장은 “기술만으로는 강사가 될 수 없다”며 “매듭 하나를 가르치더라도 그 의미와 역사를 함께 전해야 한다. 앞으로도 2시간 체험형 수업을 넘어 작품 몇 개로도 60시간을 채울 수 있는 심화 교육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한국문화센터는 강사 자격 기준을 기능 숙련도뿐 아니라 문화적 이해와 소통 역량까지 반영하는 방식으로 재정비하고 있다. 또한 전국 지부 간 격차 해소를 위해 줌 화상교육과 맞춤형 세미나를 병행하고, 공지와 자료는 협회 공식 카페를 통해 일원화하는 등 체계적인 운영을 강화하고 있다.
올여름 세미나 현장에서도 변화가 뚜렷했다. 한국문화센터 관계자는 “이번 세미나는 단순 기능 전수가 아니라 수묵화·나전칠기·한식디저트 등 각 장르에서 전통의 철학과 현대적 감각을 아우르는 교육이 실현된 자리였다”며 “전통문화가 생활 속 창작 오브제로 확장될 수 있음을 보여주었고, 앞으로도 지역과 세대를 넘어 지속 가능한 교육 생태계를 만들어가는 데 힘쓸 것”이라고 말했다.
이금덕 회장은 또 “전통문화는 해외에서 주목받지만 국내에서는 종종 외면받는다”며 “지금 필요한 것은 유행이 아닌, 지속 가능한 문화 콘텐츠를 만들어내는 교육”이라고 강조했다. 이번 세미나를 계기로 푸드아트 커리큘럼에는 떡·앙금플라워 등 한식 디저트가 새롭게 반영됐으며, 민화와 수묵화 같은 전통 장르를 현대적으로 재해석하는 시도도 확대되고 있다.
한국문화센터 관계자는 “이번 변화는 단순한 교육 진화를 넘어 전통문화의 현재적 가치와 미래 확산 가능성을 드러내는 선언”이라며 “기술보다 깊이를, 결과보다 과정을 중시하는 교육 철학은 세대를 이어 문화를 계승하는 힘으로 자리 잡을 것”이라고 덧붙였다.
출처 : 공감신문(https://www.gokorea.kr)